네트워크 기초

2019. 5. 28. 23:07IT - 네트워크

네트워크 통신방식
 1) Unicast : 1대1로 연결이 맺는다.
 2) Broardcast : 1대N의 통신방식
 3) Multicast : 1대 N(특정그룹)의 통신방식

네트워크 영역 구분
 1) LAN(Local Area Network) : 조직내부 및 건물의 내부 네트워크. 비교적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이다.
 2)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 하나의 도시정도되는 규모의 네트워크.
 3) WAN(Wide Area Network) :  물리적은 넓은 규모의 네트워크(국가, 대륙). 전용 서비스 업체가 관리하는 규모. 

네트워크 주소체계
> 네트워크 주소가 필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현실에서 편지를 보내기 위해서 상대방의 주소가 필요하듯이 네트워크 상에서 내가 원하는 상대방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주소가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주소체계가 존재한다.
현재 IPv4를 사용하고 있으며 IPv6도 존재한다.
* IPv4 
  - 192.168.1.2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 지는데 .을 기준으로 1byte씩의 크기를 가진다. 총 4byte이며 표현은 10진수로 한다.
  - 0.0.0.0 ~ 255.255.255.255까지 약 42억개가 존재하지만 지속적인 기술의 발달로 IP의 부족현상이 일어난다.
  -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네트워크 구분을 한다. 
  - 공인IP와 사설IP가 존재하는데 목적이 다르다. 공인IP는 외부통신용, 사설IP는 내부통신용.

★ OSI 7 Layer, TCP/IP 4 Model
> 네트워크 통신방식을 계층별, 단계별로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이다. 데이터의 송, 수신에 관한 정해진 규약으로 데이터 송,수신은 이 규약을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는 OSI 7 Layer를 좀 더 간편화된 TCP/IP Model이 통신에 관한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맨 아래계층인 Physical부터 살펴보기전 각 계층에서 데이터를 칭하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Application, Presentation, Session

 Message

Transport

Segment

Network

Packet

Data-Link

Frame

Physical

Bit

1) Physical : Frame을 Bit로 바꿔 물리적인 장치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계층. 
                    아날로그, 디지털 신호를 이용해 통신한다.
                    대표장비 : Repeater, Hub, Cable

2) Data-Link : Point to Point(장비 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계층. 인접장비 간 연결을 위해 48bit의 
                       MAC 주소를 사용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 Framing : 3계층에서 전달받은 데이터에 대해 캡슐화, 전달받은 데이터의 역캡슐화
                      -> Flow Control : 수신한도를 넘어서지 않게 제어하는 기능
                      -> Error Control : 전기 신호는 오류에 취약한데 프레임 또한 마찬가지라고 한다.
                                                     오류 검사를 통해 신속한 데이터 재전송, 오류 데이터 폐기를 제어하는 기능.
                      -> Congestion Control : 과도한 프레임으로 인해 혼잡이 발생할 때 그 혼잡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기능.
                        대표장비 : L2 Switch, Bridge

3) Network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즉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계층이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을 학습해서
                 특정 호스트를 찾아갈 수 있다.(Routing 기능, Forwarding 기능) 네트워크 구분을 위해 IP주소체계를 사용.
                    대표장비 : L3 Switch, Router

4) Transport : 노드와 노드가 연결을 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할지 결정하는 계층이다. 
                       즉 데이터의 전달방식을 설정한다. 또한 어떠한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구분한다.
                       서비스 구분을 위한 2byte 크기의 Port 주소를 사용한다.
                       대표장비 : L4 Switch
5) Session : 프로세스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계층이다(소켓). 여기서 전이중, 반이중 방식이 결정된다.

6) Presentation : 데이터의 표현방식을 관리하는 계층이다. 서로 다른 방식을 호환시켜주기도 하고 
                            데이터를 압축, 암호화, 인코딩, 디코딩 등의 기능을 한다.

7) Application : 응용 S/W가 존재하는 계층이다. 사용자의 명령을 직접적으로 전달받는 계층이고
                           데이터가 실제로 생성되는 계층이다.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nning Tree Protocol(STP)  (0) 2019.05.30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란 무엇인가?  (0) 2019.05.30
Routing Protocol(RIP)  (0) 2019.05.28
네트워크 기초2  (0) 20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