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초2

2019. 5. 28. 23:18IT - 네트워크

라우팅이란?
-> 데이터를 최적의 경로로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가 이동할 경로를 지정하는 행위를 라우팅이라고 한다.
    이때 경로확인을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한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Best Path가 등록된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1) Connect 
     -> 물리적으로 연결된 경로. 라우터에 연결이 되면 자동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이 된다.
2) Static
     -> 관리자가 직접 목적지 네트워크의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이다.
     -> 최적경로를 관리자가 직접 판단하며 한번 등록하면 변하지 않는다.
     -> 별다른 계산 없이 정해진 경로로만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 라우터에 부하가 적다.
     -> Dynmaic처럼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측면에서 좋다.
     -> 다만 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라 즉각적인 반응이 어렵다. 수동으로 모두 변경해야 되기 때문에
     -> 그래서 대규모 네트워크보다는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방법이다.

3) Dynamic
     -> 관리자가 최초 설정 후에 자동적으로 라우팅 경로를 라우터끼리 교환하는 방법이다.
     -> 최적경로에 문제가 생겨도 자동적으로 백업경로를 계산해서 최적경로로 올린다.
     -> Distance Vector(거리방향)와 Link-state(링크상태)로 구분된다.
         * Distance Vector는 물리적 거리, 방향을 통해 라우팅 경로 계산
            Link-state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링크의 상태등으로 라우팅 경로 계산
     -> 네트워크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가능하지만 라우터가 지속적으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라우터가 지속적으로 작업을 해야 한다.

라우팅 우선순위
 -> 위에서 본것처럼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이 존재하는데 이 프로토콜들은 서로 우선순위 값을 가지며 
     그 값에 따라 어떤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 라우팅 우선순위
        1) PBR(Policy Based Route)  -> D.IP를 제외한 필드의 정보를 이용한 라우팅.
        2) Longest Match -> 서브넷마스크를 이용한 라우팅.
        3) AD 값(낮은 값이 우선) -> 라우팅 프로토콜간의 우선순위 값
            Connected = 0
            Static = 1 
            EIGRP = 90 
            RIP = 120 
            OSPF = 110  
        4) Metric -> 라우팅 종류별로 최적경로 설정을 위한 값
             ex) RIP = Hop , EIGRP = Hop, Delay 등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nning Tree Protocol(STP)  (0) 2019.05.30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란 무엇인가?  (0) 2019.05.30
Routing Protocol(RIP)  (0) 2019.05.28
네트워크 기초  (0) 20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