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네트워크(5)
-
Spanning Tree Protocol(STP)
앞서 알아본 스위치의 정말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STP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STP : 스위치 or 브릿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루핑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 * 루핑(Looping)이란? -> 루핑은 뺑뺑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계속해서 패킷이 돌고 있다는 뜻이다. 아래 네트워크 환경에서 스위치에 브로드캐스팅된 패킷이 들어왔을 때 브로드캐스팅을 Flooding하게 되는데 이때 이 패킷을 전달받은 스위치도 Flooding하게 되면서 무한루프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스위치가 서로 브로드캐스팅된 패킷을 계속해서 주고 받는 현상 이를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바로 STP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루핑이 발생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하는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기 전에 브릿지 ID와 ..
2019.05.30 -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란 무엇인가?
* 스위치의 특징 1) 각 포트별로 Collision Domain을 구분한다. 2) 허브와는 달리 출발지와 목적지가 1:1로만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3) 다른 포트가 통신중이여도 또 다른 포트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4) MAC주소를 이용해 통신한다. 5) 허브와는 달리 ASIC방식(처리 절차가 H/W에 저장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 스위치의 전송방식 1) store and forward -> Frame 전체를 확인하고 나서 전송을 진행하는 방식. 출발지, 목적지 주소 및 에러여부를 체크한다. 에러발생에 해결하는 능력이 좋지만 다른 방식에 비해서는 느리다는 것이 단점 2) Cut-through -> 목적지 주소만 확인하고 전송을 진행하는 방식. 속도는 빠르지만 에러발생에 취약하다. 에러에..
2019.05.30 -
Routing Protocol(RIP)
RIP는 Dynamic Routing에서 Distance Vector를 이용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는 v1과 v2가 존재하며 그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특징 - 속도나 거리, 지연에 대해 계산하지 않음. 네트워크 변화에 둔감. 수렴이 느림. 관리자가 직접 수정. - 최적경로 설정을 위해 hop이라는 값을 사용함. hop은 라우터를 지나갈 때마다 1씩 증가한다. - hop은 최대 15까지 증가할 수 있다. 즉 최대 15개의 라우터 이동 가능. 16부터는 메시지 폐기. - UDP 520번을 사용하기 때문에 업데이트 여부 확인 불가(신뢰성↓) -> 주기적 업데이트(30초) 가 필요하다. - Invaild(180초) - 업데이트가 오지 않으면 기다리는 시간 - Hold(180초) - Invaild와 ..
2019.05.28 -
네트워크 기초2
라우팅이란? -> 데이터를 최적의 경로로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가 이동할 경로를 지정하는 행위를 라우팅이라고 한다. 이때 경로확인을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한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Best Path가 등록된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1) Connect -> 물리적으로 연결된 경로. 라우터에 연결이 되면 자동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이 된다. 2) Static -> 관리자가 직접 목적지 네트워크의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이다. -> 최적경로를 관리자가 직접 판단하며 한번 등록하면 변하지 않는다. -> 별다른 계산 없이 정해진 경로로만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 라우터에 부하가 적다. -> Dynmaic처럼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측면에서 좋다. -> 다만 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라 즉각적인 반응이 ..
2019.05.28 -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통신방식 1) Unicast : 1대1로 연결이 맺는다. 2) Broardcast : 1대N의 통신방식 3) Multicast : 1대 N(특정그룹)의 통신방식 네트워크 영역 구분 1) LAN(Local Area Network) : 조직내부 및 건물의 내부 네트워크. 비교적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이다. 2)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 하나의 도시정도되는 규모의 네트워크. 3) WAN(Wide Area Network) : 물리적은 넓은 규모의 네트워크(국가, 대륙). 전용 서비스 업체가 관리하는 규모. 네트워크 주소체계 > 네트워크 주소가 필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현실에서 편지를 보내기 위해서 상대방의 주소가 필요하듯이 네트워크 상에서 내가 원하는 상대방과 통신하기 ..
20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