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사회초년생
검색하기

블로그 홈

사회초년생

bong-2.tistory.com/m

bong2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구해줘 - 기욤 뮈소 이번에 소개드릴 책은 기욤 뮈소의 구해줘입니다. 서점에 자주는 아니더라도 한번씩 가시는 분이라면 스테디 셀러, 베스트 셀러 코너에서 기욤 뮈소라는 이름을 적어도 한번쯤은 보셨을 거에요. 어떤 곳은 기욤 뮈소 책을 모아둔 코너를 따로 만들었더라구요. 기욤 뮈소는 프랑스에서 태어나서 경제학을 전공했다고 하네요. 그런데 생각보다 의외였던게 원래는 책을 엄청 멀리하는 사람이였다고 하네요. 그러다가 어떤 작품들을 읽고 거기에 매료되어서 문학의 세계로 빠져들었다고 해요. 그리고 나서 자신만의 색깔이 담긴 소설들을 쓰기 시작했죠. '구해줘', '당신 거기 있어 줄래요?', '사랑하기 때문에', '종이여자' 등등 또 가장 최근에는 '아가씨와 밤'까지 유명한 작품들을 많이 나왔어요. 기욤 뮈소의 책을 읽다 보면 뭐랄까 ..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5. 31.
  • Sniffing, Spoofing(ARP, IP) Sniffing 통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엿보거나 훔치는 행위. 기밀성을 침해하는 행위이다. Sniffing의 전제조건 1)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공격자에게 도달해야 한다. 2) NIC의 Mode가 Promiscous mode여야 한다. 3) sniffer가 필요하다.(필터링 되기 전 패킷을 복사한다) Hub 환경에서의 Sniffing Switch 환경에서의 Snifiing Hub는 모든 데이터를 Flooding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스니핑이 가능 Swtich는 필터링, 포워딩의 기능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작업이 있어야 스니핑이 가능하다. Passive Sniffing Active Sniffing Hub 환경처럼 모든 호스트에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1) 공격자에게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도달하지 않는..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5. 30.
  • Spanning Tree Protocol(STP) 앞서 알아본 스위치의 정말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STP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STP : 스위치 or 브릿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루핑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 * 루핑(Looping)이란? -> 루핑은 뺑뺑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계속해서 패킷이 돌고 있다는 뜻이다. 아래 네트워크 환경에서 스위치에 브로드캐스팅된 패킷이 들어왔을 때 브로드캐스팅을 Flooding하게 되는데 이때 이 패킷을 전달받은 스위치도 Flooding하게 되면서 무한루프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스위치가 서로 브로드캐스팅된 패킷을 계속해서 주고 받는 현상 이를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바로 STP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루핑이 발생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하는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기 전에 브릿지 ID와 ..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5. 30.
  •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란 무엇인가? * 스위치의 특징 1) 각 포트별로 Collision Domain을 구분한다. 2) 허브와는 달리 출발지와 목적지가 1:1로만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3) 다른 포트가 통신중이여도 또 다른 포트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4) MAC주소를 이용해 통신한다. 5) 허브와는 달리 ASIC방식(처리 절차가 H/W에 저장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 스위치의 전송방식 1) store and forward -> Frame 전체를 확인하고 나서 전송을 진행하는 방식. 출발지, 목적지 주소 및 에러여부를 체크한다. 에러발생에 해결하는 능력이 좋지만 다른 방식에 비해서는 느리다는 것이 단점 2) Cut-through -> 목적지 주소만 확인하고 전송을 진행하는 방식. 속도는 빠르지만 에러발생에 취약하다. 에러에..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5. 30.
  • 내게 무해한 사람 최근 지인에게서 선물받아 재밌게 읽었던 책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긴다. 선물받은 책은 최은영 작가의 '내게 무해한 사람'이라는 7편의 단편소설이 담긴 책이다. 책을 읽기 시작한 첫 날, 첫번째 단편소설 '그 여름'을 읽자마자 책에 빠져들었다. 그래서 앉은 자리에서 책 절반 이상을 쉬지도 않고 읽었다. 그만큼 재미있었고 작가가 표현하는 모든 것이 나에게 전달되는 느낌을 받았다. 인물의 심리 상태를 작은 행동 하나로도 표현하였고 심지어 글을 읽다 보면 보지 못했던 풍경들이 내 상상 속에서 모두 그려지는 느낌도 받았다. 특히 첫번째 단편 '그 여름'에서는 내 스스로 과거를 많이 회상한 듯 하다. 한동아 죽어있던 연애세포들이 조금이나마 살아난 느낌... 첫번째 단편소설을 너무 흥미롭게 읽고 책에 대한 기대가 ..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5. 29.
  • Routing Protocol(RIP) RIP는 Dynamic Routing에서 Distance Vector를 이용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는 v1과 v2가 존재하며 그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특징 - 속도나 거리, 지연에 대해 계산하지 않음. 네트워크 변화에 둔감. 수렴이 느림. 관리자가 직접 수정. - 최적경로 설정을 위해 hop이라는 값을 사용함. hop은 라우터를 지나갈 때마다 1씩 증가한다. - hop은 최대 15까지 증가할 수 있다. 즉 최대 15개의 라우터 이동 가능. 16부터는 메시지 폐기. - UDP 520번을 사용하기 때문에 업데이트 여부 확인 불가(신뢰성↓) -> 주기적 업데이트(30초) 가 필요하다. - Invaild(180초) - 업데이트가 오지 않으면 기다리는 시간 - Hold(180초) - Invaild와 ..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5. 28.
  • 네트워크 기초2 라우팅이란? -> 데이터를 최적의 경로로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가 이동할 경로를 지정하는 행위를 라우팅이라고 한다. 이때 경로확인을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한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Best Path가 등록된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1) Connect -> 물리적으로 연결된 경로. 라우터에 연결이 되면 자동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이 된다. 2) Static -> 관리자가 직접 목적지 네트워크의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이다. -> 최적경로를 관리자가 직접 판단하며 한번 등록하면 변하지 않는다. -> 별다른 계산 없이 정해진 경로로만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 라우터에 부하가 적다. -> Dynmaic처럼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측면에서 좋다. -> 다만 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라 즉각적인 반응이 ..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5. 28.
  •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통신방식 1) Unicast : 1대1로 연결이 맺는다. 2) Broardcast : 1대N의 통신방식 3) Multicast : 1대 N(특정그룹)의 통신방식 네트워크 영역 구분 1) LAN(Local Area Network) : 조직내부 및 건물의 내부 네트워크. 비교적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이다. 2)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 하나의 도시정도되는 규모의 네트워크. 3) WAN(Wide Area Network) : 물리적은 넓은 규모의 네트워크(국가, 대륙). 전용 서비스 업체가 관리하는 규모. 네트워크 주소체계 > 네트워크 주소가 필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현실에서 편지를 보내기 위해서 상대방의 주소가 필요하듯이 네트워크 상에서 내가 원하는 상대방과 통신하기 ..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5. 2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